목록연구노트/논문(Papers) (4)
Biotechnology
[주의 사항] 1. 위 포스팅은 타 블로그의 글을 가져와 재가공한 것임을 밝힙니다. 2. 위 포스팅은 개인적인 연구의 빠른 참조를 위한 것이고, 그 외의 목적은 없음을 밝힙니다. 1. 설명 전공 공부를 하다보면 서적을 찾기가 어려워서 (아니 사실 유료여서), 도서관에 원문복사 신청을 하거나 전공서적을 빌리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 대안으로, 전공 서적 (영문판) 과 각 저널의 논문 등에 대한 PDF 파일 다운로드 방식을 정리합니다. (절대, 제 논문 낼 때 open access 로 해서는 아닙니다.) Sci-Hub 는 Research paper 를 무료로 열람해주는 기능을 가진 사이트고, 그 외의 전공 서적 등에 대한 pdf 파일은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사이트들이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그저 링크 공..
[주의 사항] 1. 위 포스팅은 타 블로그의 글을 가져와 재가공한 것임을 밝힙니다. 2. 위 포스팅은 개인적인 연구의 빠른 참조를 위한 것이고, 그 외의 목적은 없음을 밝힙니다. 1. RSS 구독 확장 프로그램 (Google) https://chrome.google.com/webstore/detail/rss-subscription-extensio/nlbjncdgjeocebhnmkbbbdekmmmcbfjd RSS 구독 확장 프로그램(Google 제공) 클릭 한번으로 툴바에 구독을 추가합니다. chrome.google.com RSS 아이콘이 활성화되면 RSS 주소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주소를 가져와서 리더에 추가하면 끝. 만약 RSS 아이콘이 비활성화되면 RSS 주소를 제공하지 않으므로, 구독할 수 없음. ..
[주의 사항] 1. 위 포스팅은 타 블로그의 글을 가져와 재가공한 것임을 밝힙니다. 2. 위 포스팅은 개인적인 연구의 빠른 참조를 위한 것이고, 그 외의 목적은 없음을 밝힙니다. 1. Pubmed 사이트 방문 https://www.ncbi.nlm.nih.gov/pubmed/ Home - PubMed - NCBI www.ncbi.nlm.nih.gov 2. 키워드를 통한 검색 검색 팁. 1. 저자 이름을 통해 검색하면, 원하는 사람(책임 저자 등)의 최신 논문을 빠르게 받아볼 수 있음 2. 특히 저자를 찾을 때 이메일 주소 혹은 소속 등으로 찾으면 원하는 사람만 딱 집을 수 있음. 3. 대분류인 biotechnology 보다 소분류인 특정 방법, 타겟 단백질 등을 검색하는 것이 더 좋음 3. RSS Feed..
[주의 사항] 1. 위 포스팅은 타 블로그의 글을 가져와 재가공한 것임을 밝힙니다. 2. 위 포스팅은 개인적인 연구의 빠른 참조를 위한 것이고, 그 외의 목적은 없음을 밝힙니다. 1. RSS란? RSS는 Rich Site Summary 의 약자로, 뉴스나 블로그 사이트에서 주로 사용하는 콘텐츠 표현 방식. 이 표현방식을 바탕으로, 웹페이지의 정보를 빠르게 긁어올 수 있음. 2. RSS리더 종류 1. FEEDLY https://feedly.com/ Feedly: organize, read and share what matters to you. Feedly connects you to the information and knowledge you care about. We help you get more ou..